반응형
휘사주 스토리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
흔히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말하지만 좀 더 정확히는 '사주명리(四柱命理)'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효첨(沈孝瞻)의 『자평진전(子平眞詮)』 서문은 사주명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있습니다. 命之不可不信 而知命之君子 當有以順受其正 : 명(命)은 불신할 수 없는 것이어서 명을 아는 군자라면 마땅히 순리로써 그 바른 명을 받아들임이 있어야 합니다.
사주팔자는 농사에서 '때'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농사를 짓다 보면 씨앗을 뿌리고 곡물을 수확하는 시점에 수확시기를 신경쓸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연월일시로 구성된 사주와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태어난 연월일시를 간지로 표기한 것으로 기둥이 넷이라 하여 사주라 하고, 글자가 여덟 개라 하여 팔자라고 정의된다.사주술에서는 명을 갖는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스쳐가는 일련 시간의 흐름들을 운이라고 합니다.
사이트 정보 : blog.naver.com/nanami38
살면서 임진년, 경인년, 병신년 등의 말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러한 것을 육십갑자라고 하는데, 이러한 육십갑자는 년 말고도 월일시에도 각각의 육십갑자가 있는데, 본인의 태어난 시간의 육십갑자를 천간 윗줄, 지지는 아랫줄에 배치하고 연월일시 순대로 우에서 좌로 나열한 것을 사주팔자라고 합니다. 즉,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가 사주이고, 이를 간지로 나타내면 8글자이므로 팔자가 됩니다.
반응형